뉴스/News

푸틴에 반기 프리고진, 항공기 추락 사망…러시아 당국이 죽였나

sontim 2023. 8. 24. 10:45
728x90
반응형
가벼운샘 생수, 2L, 12개가벼운샘 생수, 2L, 12개

프리고진은 누구인가 ?


예브게니 빅토르비치 프리고진 (바그너 그룹 대표/창설자)

러시아의 기업인.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의 설립자이자 대표였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러시아와 관련된 수많은 국제 분쟁에 직접 개입하여 전쟁범죄를 저질렀기에 2023년 미국의 공개 수배자이며, EU에서는 경제제재 목록에 올려놓고 있었다.


바그너 그룹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2013년 창설)

규모 : 60,000여명 (등록지 벨라루스)

 

러시아의 민간군사기업으로 러시아 기업가인 예브게니 프리고진과 스페츠나츠 지휘관 출신인 드미트리 우트킨이 공동 설립했다. '바그너 그룹'에서 '바그너'란 명칭은 아돌프 히틀러가 좋아했던 음악가 리하르트 바그너에서 유래한 것으로 공동창립자 드미트리 우트킨의 콜사인이었다고 한다. 한국 언론에서는 이를 모르고 철자를 영어식으로 읽어 '와그너 그룹'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전직 러시아군 스페츠나츠 대원 및 러시아 공수군 예비역 군인들을 고용해서 미국의 블랙워터처럼 러시아의 이익이 걸린 전장에 용병으로서 투입시키고 있다. 시리아 내전에 아사드 정부군을 도와 참전했고, 돈바스 전쟁에서도 돈바스 분리주의자들을 지원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참전해 러시아군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전쟁 중에는 죄수들을 많이 징병해서 총알받이로 먼저 돌격시키고 이후에 훈련된 전투부대, 즉 일반용병으로는 측면을 공격하는 전술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 전쟁 이전에도 중동과 아프리카 분쟁 등에 참여했고, 러시아의 세력 확장 및 친러파 인사들을 지원해줬다.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때도 투입되었는데 다른 건에 비하면 진짜배기 전쟁이라기보다는 경호 수준이기는 했다.

에스토니아 의회와 리투아니아 의회프랑스 국민의회, 그리고 우크라이나 정부가 바그너 그룹을 테러 조직으로 지정했으며 미국 국무부는 국제 범죄조직으로 지정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 / 예브게니 프리고진(오른쪽 바그너 그룹 수장

타스통신 "엠브라에르 여객기 추락, 승객 중 프리고진 있어"…요격설도 나와

지난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향해 반란을 일으킨 러시아 군 용병 바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23일(이하 현지시각) 러시아 매체 <타스통신>은 "러시아 연방항공교통청은 23일 트베리 지역에서 발생한 엠브라에르 비행기 추락 사고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며 항공교통청은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승객 중에 있었다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엠브라에르 제트기는 쿠젠키노 정착지 근처의 트베리 지역에서 추락했다"며 "예비 자료에 따르면 비행기에 탑승한 10명 모두 사망했다"고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비행기는 모스크바 공항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향하던 중이었다.

항공당국은 이어 프리고진의 최측근이자 함께 바그너그룹을 만든 드미트리 우트킨 역시 해당 비행기에 탑승해 사망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AP> 통신은 항공기 추적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비행기가 모스크바를 이륙한지 몇 분 지나지 않아 비행 신호가 끊어졌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해당 비행기를 바그너그룹이 소유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추락한 비행기의 사진에서 포착된 숫자와 표식이 과거 바그너그룹의 전용기와 동일하다고 전했다.

푸틴에 대한 반란이 실패로 끝난 이후 신변 위협 우려가 나오던 프리고진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일부에서는 요격설이 제기되고 있다. 친(親)바그너 텔레그램 채널 그레이존은 러시아군이 이 비행기를 격추시켰다고 주장했다.

프리고진은 우크라이나 군과 전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탄약 등 러시아의 지원이 적절히 이뤄지지 않은 것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는데, 러시아 당국이 그를 '무장 반란' 혐의로 조사하고 체포령을 발발하면서 갈등이 커졌다.

이에 그는 지난 6월 24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 등 군 수뇌부의 처벌을 원한다며 모스크바를 향해 진격했다. 하지만 벨라루스의 중재로 협상이 이뤄졌고 하루 만인 25일 모스크바에 대한 진격을 멈추며 반란을 종료됐다. 프리고진이 벨라루스로 가는 대신 바그너그룹 용병을 처벌하지 않겠다는 조건이었다.

이후 프리고진의 신변 이상 우려는 곳곳에서 제기됐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 13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핀란드 대통령과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내가 그였다면 먹는 것을 조심할 것"이라며 푸틴 대통령의 암살 시도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 발언은 러시아 당국이 반체제 인사에 대한 타살 시도를 가했기 때문인데, 대표적인 반체제 인사인 알렉세이 나발니의 경우 2020년 비행기에서 독극물 증세를 보인 뒤 독일에서 치료를 받다가 러시아로 이송된 바 있다.

다만 프리고진이 이후 러시아와 벨라루스를 오가며 활동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러시아 당국이 그를 이같은 사고사로 위장해서 살해할 동기가 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 그는 지난 21일 텔레그램을 통해 총을 들고 사막에 있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