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발호재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총 614조원 추진

sontim 2023. 7. 21. 10:29
728x90
반응형

-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총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 8개 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 선정으로 인재양성도 본격 지원
- 향후 바이오산업에 대해서도 특화단지, 특성화대학 지정 추진

국가첨단·소부장 툭화단지 선정지역 / 출처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

특화단지의 경우 총 21개 지역이 신청했으며, ▴선도기업 유무, ▴신규 투자 계획, ▴산업 생태계 발전 가능성, ▴지역균형발전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이번에 7곳을 지정하였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의 육성을 위해 대규모 민간 투자가 예정된 용인·평택 지역을 특화단지로 지정, 현재 가동 중인 이천·화성 생산단지와 연계 육성

 

➊ 반도체 : 첨단 시스템·메모리 반도체 산업 초격차 확보

☞ 경기 용인·평택을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의 거점으로 육성,
경북 구미를 반도체 공정 핵심 원재료(웨이퍼·기판) 공급기지로 특화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 (첨단 반도체 : 경기 용인‧평택)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의 육성을위해 대규모 민간 투자가 예정된 용인·평택 지역을 특화단지로 지정,현재 가동 중인 이천·화성 생산단지와 연계 육성
⇒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 견고화, 시스템 반도체 ‘30년 10% (現 3%)


□ (반도체 소재 : 경북 구미) 반도체 핵심 소재인 웨이퍼·기판 등의 대규모
생산라인 확대 투자로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망 및 경제안보 확보
⇒ 12인치 웨이퍼 글로벌 리딩그룹 도약 (140→200만장/월, ’26년)

 

➋ 디스플레이 : 차세대 디스플레이 혁신 거점

☞ 차세대 디스플레이(OLED·QD 등) 선점으로 디스플레이 세계 1위 탈환

□ (차세대 : 충남 천안‧아산) 생산 및 R&D 관련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초격차 달성을 위한 생산 및 혁신 거점으로 육성
⇒ OLED를 넘어선 퀀텀닷(QD) 등 차세대(무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시발점

 

➌ 이차전지 : 全 밸류체인 완결 및 미래 이차전지 수요 대응

☞ 광물가공(전북)-소재(포항)-셀(충북·울산)-재활용(전북)으로 국내 이차
전지 밸류체인 완결하고, 전고체·리튬황 등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 (셀 : 충북 오창)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생산을 기반으로 차세대
이차전지 선도를 위한 혁신 역량을 집적화
⇒ 대형 원통형 배터리 업계 최초 양산공장 가동 (‘24년, 연 9GWh)
* 지름 46mm, 길이 80mm의 4680 배터리로 기존 2170배터리 에너지 용량의 약 5배


□ (소재 : 경북 포항) 배터리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국내 최대 규모 이차전지 양극재 생산 거점으로 육성
⇒ 주행거리, 안정성을 동시에 높이는 하이니켈 양극재 양산(’25년, 국내 최대)


□ (핵심광물 : 전북 새만금) 전구체(양극재 원가 중 70%)·리사이클링 등
배터리 핵심광물 가공 및 국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집적단지 신규 조성
⇒ 전구체(전기차 800만대 분량/연) 양산을 통해 국내 공급망 구축


□ (미래수요 : 울산) LFP 전지 생산기반 마련, 전고체 전지 개발 등
미래 배터리 수요에 대응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 세계 최초의 차세대 전지 마더팩토리 설립(‘30년)


향후 정부는 다른 첨단전략산업으로도 특성화대학 지정을 확대하고,지난 5월 선정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원’과의 연계를 통해 산업현장의 수요에 맞는 실무·고급인력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용인, 평택, 구미, 청주, 포항, 새만금, 울산, 천안, 아산의 부동산에 주목

 

0720(21조간, 20일(목) 16시30분엠바고)산업정책과, 7개 특화단지에 민간투자 총 614조원 추진.pdf
1.22MB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