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 24

경제/동향조사[7월4주차]주택가격동향조사 요약(한국 부동산원)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3년 7월 4주(7.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2% 상승, 전세가격은 0.01% 상승을 기록했다. 2023년 7월24일 기준 전국적 시황입니다. 매매가격 지수 변동률을 보시면 서울 수도권의 상승추세로 전환되면서 지방지역 또한 저번 주 대비 지방의 하락폭도 일부 감소 되고 있습니다. 서울 및 수도권은 상승폭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세지수도 점차 상승 되고 있는 그래프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수도권을 넘어 수도권과 인접한 충청도 지역의 반등이 확실해 보입니다. 저번주 대비 충북의 상승전화이 눈에 띱니다. ■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 여전희 조정지역이 상승지역보다는 많습니다. 그럼에도 점차 상승..

경제/동향조사 2023.07.30

[경제]시멘트값의 인상... 앞으로 집값 더오를 것

시멘트업계 "원자잿값 상승·친환경 투자로 상승 불가피" 국내 시멘트업체가 시멘트 가격 줄인상에 나서면서 신규 아파트 분양가가 더 오를 것으로 전망이 나온다. 자잿값에 연동하는 주택 분양가 인상 흐름이 당분간 이어지면서 기존 주택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서울 민간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가 꾸준히 오르며 3200만원에 육박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6월 말 기준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192만75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5월 말 3106만6200원 대비 86만1300원 상승했다. HUG의 월별 평균 분양 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 사업장의 평균 분양 가격이다. 시멘트업계..

경제/신규소식 2023.07.29

美, 금리 0.25%p 인상 2001년이후 최고 수준

연준, 숨고르기 후 다시 인상…한미 금리차 1.75~2.0%p 역대 최대 파월 "9월 금리인상·동결 모두 가능…경기침체 예상 안 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26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준은 직전인 6월 FOMC에서는 금리를 동결, 지난해 3월부터 15개월간 이어진 공격적 인상 국면을 마무리하고 숨고르기에 나선 바 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0.25%포인트 금리 인상 결정을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5.00~5.25%에서 지난 2001년 이후 22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로 상향됐다. 한국(기준금리 3.50%)과 미국의 금리 차이는 최대 2.00..

경제/신규소식 2023.07.28

[7월3주차]주택가격동향조사 요약(한국 부동산원)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3년 7월 3주(7.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2% 상승,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다. 2023년 7월17일 기준 전국적 시황입니다. 서울, 수도권을 시작으로 매매/전세가격 지수가 하락추세에서 현재는 보합 및 소폭상승의 추세로 변동 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수도권지역의 시세 반등은 확실해 보입니다. 그리고 지방에서는 세종의 상승이 눈에 띠는 한 주 였으며, 지방지역중 대전, 충남의 상승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 점차 하락장에서 보합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점차 좋은 단지들을 시작으로 반등하고 있고 확실히 좋은 단지들은 지금 매수해도 될 것으로..

경제/동향조사 2023.07.23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총 614조원 추진

-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총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 8개 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 선정으로 인재양성도 본격 지원 - 향후 바이오산업에 대해서도 특화단지, 특성화대학 지정 추진 특화단지의 경우 총 21개 지역이 신청했으며, ▴선도기업 유무, ▴신규 투자 계획, ▴산업 생태계 발전 가능성, ▴지역균형발전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이번에 7곳을 지정하였다.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의 육성을 위해 대규모 민간 투자가 예정된 용인·평택 지역을 특화단지로 지정, 현재 가동 중인 이천·화성 생산단지와 연계 육성 ➊ 반도체 : 첨단 시스템·메모리 반도체 산업 초격차 확보 ☞ 경기 용인·평택을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의 거점으로 육성, 경북 구미를 반도체 공정 핵심 원재료(웨이퍼·기판) 공급기..

경제/개발호재 2023.07.21
728x90
반응형
SMALL